저 지도에는 식민지의 GDP는 포함되지 않은듯하다.
식민지의 GDP를 그대로 본국의 GDP와 합쳐서 보면서 국력을 가늠해보는것은 무리가 있다. 식민지는 본국과는 별개의 존재로 있기 때문이다. 식민지에서 모든것을 착취할 수 있는것도 아니고 1938년이면 그런 시대는 거의 지났다.
참고로 첫번째 자료랑 두번째 자료의 정보가 전혀 다른 이유는 첫번째 자료의 단위는 1960년 미국 달러이고 두번째 자료의 단위는 1990년 미국 달러이기 때문이다.
1939년 당시 인구는 영국이 압도적인 1위였다. 왜냐면 광대한 식민지(특히 인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대신 영국 본토 인구는 5천만명정도였다.
전체적으로 볼때 국력은 미국>>>소련≈독일>영국>프랑스>일본>이탈리아라고 생각하면 된다.
비교를 위해 현대의 자료도 첨부한다.
현대의 경제력은 미국>>중국>일본>독일>영국≈프랑스≈인도>이탈리아>브라질>캐나다≈러시아≈대한민국이다.
덤으로 흥미로운 위키피디아 문서를 첨부한다. 제 1차 세계대전 직전의 세계각국의 인구와 GDP에 관한 내용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opulation_in_1907
List of countries by population in 1907 - Wikipedia
2 British Empire[1] constituents British Raj – 289,606,000 United Kingdom – 39,700,000Template:British Africa – 33,409,000 constituents Northern Nigeria – 9,500,000 Egypt – 9,000,000 Southern Nigeria – 7,500,000 Anglo-Egyptian Sudan – 4,800,000 Gold Coa
en.wikipedia.org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PPP)_in_the_nineteenth_century
List of countries by GDP (PPP) in the nineteenth century - Wikipedia
Wikipedia list article These are lists of countries in the nineteenth century by their estimated real gross domestic product (GDP) in terms of purchasing power parity (PPP), the value of all final goods and services produced within a country/region in a gi
en.wikipedia.org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국주의(2)-아프리카의 식민화 (0) | 2020.05.18 |
---|---|
제국주의(1)- 신항로 개척 시대(대항해시대)의 시작과 신대륙 식민화 (0) | 2020.05.18 |
독일이 상실한 영토들 (下편) - 제 2차 세계대전 패전 (0) | 2020.01.19 |
독일이 상실한 영토들 (上편) - 제 1차 세계대전 패전 (0) | 2020.01.15 |
역사와 도시(2) - 이스탄불 (0) | 2019.12.30 |
댓글